top of page

네 개의 바이올린 현을 왜 색깔로 표현하는가?

 

30년간 음악을 가르치면서 저자는 초보 연주자들에게 네 개의 바이올린 현을 소개하는 세 가지 각기 다른 방법을 개발했다.   첫 번째는 각 현을 기하학적 표시로 (                           ) 나타내는 방식을 응용했고, 두 번째는 현을 동물 모형이나 현의 첫 알파벳을 따서 표현하였다. 가령 Eagle(독수리)이라면 E로, Alligator(악어)이나 Apple(사과)이라면 A로 표현하는 식이다. 세 번째 방법은 색깔을 가지고 나타내는 것인데, 임의로 정하는 것이 아니라 Wagner와 Lucy의 튜닝도표에 근거하는 방법이었다.

 

그 동안 관찰해 본 결과 현악기의 피치를 나타내기 위해 표시나 색깔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효과적인 것으로 연구되었다. 그 이유는 색깔이 청각, 시각 및 정신적인 면으로 악보를 해독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하는 하나의 유일한 방법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방법은 학생들이 음표를 빨리 이해하는데 기존의 방법보다 훨씬 더 효과적이었다. 아울러 학생이 시작 단계부터 스스로 연습할 수 있고 창의적 사고를 하도록 장려한다. 기존의 접근 방식으로는 학생들이 스스로 연주하기까지 어느 정도 시간이 걸렸다. 학생들이 레슨 시간에 배운 것을 연주하기 위해서는 대개 레슨이 이루어지는 동안 많은 레슨이나 학부모의 참여가 요구되었다.

 

3세기가 넘는 기간 동안 과학자, 수학자, 예술가 및 음악가들은 색과 음표 간의 관계를 발견하는 것에 매료되었다. 플라톤, 피타고라스, 바티스타 알베르티, 레오나르도 다빈치, 아이작 뉴턴, 칸딘스키, 스트라빈스키, 스크리아빈, 프랑수아 쿠프카(Francois Kupka) 등 유명한 역사적 인물들은 자신만의 색채와 소리 관계 이론을 발견했다.

그들의 색채와 소리 관계 이론은 흥미로울 수 있지만, 이론으로 끝났을 뿐 그 외의 다른 것으로 발전되지는 않았다. 지난 세기 동안 색채와 소리의 음파와 주파수는 수학적으로 계산되었고 연구에 새로운 새로운 통찰을 주었다. 수학적으로 음파를 계산하고 각 주파수 속도를 색상 범위로 매핑 할 수는 있지만 색상과 사운드의 공통성은 진동 주파수에서의 존재가 서로 직접 연결되지 않는다.

 그러나 필자는 색과 피치 사이의 관계를 매핑하는 것이 흥미로운 연구일 수 있고, 음악 교육에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를 염두에 두고 현악기 초보자를 가르치기 위한 개념 적용을 제안했고, 이것을 수행하기 위해 Lucy Tuning System과 Eric Wagner의 현악기(Violin, Viola, Cello)의 피치를 식별하기 위한 연구를 진행했다. 이 두 연구원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각각의 색은 피치를 나타내기 위해 네 줄로 된 바이올린의 각 현에 할당되었다.​

 

 

루시 튜닝 시스템 (LucyTuning System)은 Pi " ​” 에서 유래한 음악 미세 조정 시스템이며 John "Longitude" Harrison (영국 1693-1776)의 저서이다.  오늘날 LucyTuning은 MIDI 개발에 널리 사용되고있다.  예를 들어 Yamaha DX7 MkII & SY 시리즈는 Lucy Tuning 시스템을 사용했다. 사운드 엔지니어 Eric L. Wagner는 피아노의 모든 음표의 주파수를 컴퓨터화 한 다음, 각 음악의 피치에 해당하는 빛의 고조파 출력 주파수와 파장을 수정했다. 바그너와 루시의 연구 결과는 <Fig 1>과 <Fig 2>같다.

                        <Fig 1>                                                                <Fig 2>

basic shape.gif

Wagner와 Lucy의 도표에 근거하여 다음의 색깔들은 바이올린의 E, A, D, G이라는 열린 현을 표현하기 위해 선택되었다. 예를 들어 E현이나 바이올린의 첫 번째 현은 1초당 대략 658주기로 진동하므로 보라로 E현을 표시하기로 했다. 그리고 오렌지-노랑 / 금색이 A 현, 파랑이 D현, 빨강이 G현, 녹색이 C현을 나타내는 것으로 정했다.

bottom of page